알림 국립공주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국제통상학전공 교수소개 페이지입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fnctId=profl,fnctNo=211 인물소개 리스트 이종화 교수 연구실위치 인문사회과학관 405호 연구실 전화 041-850-8392 담당과목 국제경제법, 국제경제Ⅰ 외 이메일 cwhalee@kongju.ac.kr 상세보기 [학력] 1988 고려 대학교 불문학과, 불문학 학사 1991 프랑스, 브장송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 석사 1996 프랑스, 파리1 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 박사 [경력] 1996 ~ 1997 대우경제연구소 연구위원 1997 ~20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2000.1 ~ 현재 한국유럽학회 국제이사 2002.4 ~ 현재 산업자원부 무역위원회 무역구제분야 전문가 풀 2002.9 ~ 현재 공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부교수 2005.9 ~ 2006.8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로스홀(IIEL) 교환교수 2007.2 ~ 현재 한국 EU학회 사무국장 2009.2 외시,행시(행정직) 2차시험 문제 출제위원 [논문] 1. 이종화 (2009), “WTO회원국의 대중 특별세이프가드조치의 적용사례 분석”,『한중사회과학연구』, 한중사회과학학회 2. 이종화 (2009), “EU의 FTA는 대외개방지향적인가-”, 『EU학연구』, 한국EU학회, SNU-KIEP EU센터 3. 이종화 (2009), "Identifying "Natural Trading Partners" for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Trade』, Korea Trade Research Association 4. 이종화 (2008), “한국과EU는 자연적 무역블럭을 형성하는가-”, 『EU학연구』, 한국EU학회 5. 이종화 (2008), “지역무역협정의 무역창출효과 추정”, 『국제통상연구』,한국국제통상학회 6. 이종화 (2008), “고정효과 추정을 통한 무역창출효과 평가”,『대외경제연구』,대외경제정책연구원 7. 이종화(2007), “Korea-Commercial Vessels 사건의 재고찰: 통상분쟁의 전략적 함의를 중심으로”『통상법률』, 법무부 국제법무과 8. 이종화?박순찬(2007),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EU Enlargement on the 3rd country: The Case of Korea.”,『유럽연구』, 한국유럽협회 9. “중국의 WTO 가입 이후 대중(對中) 특별 세이프가드조치의 발동요건과 정책시사점”, 한국동북아 논총 36집, 제10권 제3호, 29-44, 2005.9 10. “Searching for FTA stratesy for APEC”, 한국동북아 논총 34집, 제10권 제1호, 399-414, 2005.3 11. “EU확대는 GATT 제 24조 5항의 역외적 요건을 충족하는가?”, 통상법률 통권 제57호, 86-103, 2004.6 12. “WTO 반덤핑 협정의 개정방안과 협상전략 탐구”, 통상법률 통권 제51호, 181-216, 2003.6 13. “실물유로화 통용과 대응방안", 한국국제경영학회 2002년 춘계학술대회 14. “Trade and Investment Profiles in ASEM Process; Issues and Prospects"한국유럽학회 주최 국제세미나, 2002. 15. “Trade Issues in the ASEM Process" 한국경제학회/한독경상학회/한국EU학회/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동 주최 국제세미나, 2000 16. “Testing the Subsidiarity Question for ASEM"대외경제정책연구원/Asia-Europe Foundation (싱가포르)공동주최 국제세미나, 2000 17. “Economic Profiles in the ASEM Process: Looking Back and Looking Forward"한-벨 수교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경희대/벨기에 루벵대학교 공동주최), 2001 18. “Searching for an Economic Agenda for the 3rd ASEM Summit: Two Scenarios", KIEP Working Paper 99-3 19. “Developing an ASEM Position toward the New WTO Round (1999) KIEP Working Paper", KIEP Working Paper 99-15 [저서] 1. 「유로화의 출범과 한국경제」, 박영사, 1999 2. 「WTO뉴라운드의 협상의제별 주요쟁점 및대응방안」(WTO협동연구시리즈0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01 3. 「EU확대와 한국의 대응전략」, KIEP정책연구 2001-09 4. 「WTO 반덤핑협정의 개정방향 탐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5. 「An Appraisal of ASEM Economic Dialogues and Future Prospects」, KIEP Discussion Paper 2001-02 6. 「제3차 ASEM정상회의: 경제협력분야의 성과와 발전전략」, KIEP정책연구 2000-15 7. 「The Seoul 2000 Summit: The Way Ahead for the Asia -Europe Partnership(seminar proceeding)」, 대외경제정책연구원 8. 「DDA 규범분야의 논의동향과 개정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9. 「유로화출범의 파급효과 및 對EU통상환경의 변화」,KIEP조사분석98-11 10. 「ASEM Investment Promotion Action Plan(IPAP) Revisited: Establishing the roundwork for Regional Investment Initiative」, KIEP Working Paper 98-06 11. 「전자상거래의 국제적 논의동향과 대응과제」, KIEP정책연구 97-06 12. 「한-EU 주요통상현안과 대응방안」, KIEP자료논문 97-10 채진익 교수 연구실위치 인문사회과학관 411호 연구실 전화 041-850-8393 담당과목 무역계약론, 무역결제론 외 이메일 jinchae@kongju.ac.kr 상세보기 [학력] 중앙 대학교 경제학과(경제학사)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경제학 박사) [경력] 호원대학교/배화여자대학 겸임교수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강사 국제무역사 출제위원 [저서] 전자무역론, 도서출판 두남 외 [논문]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이행기전 계약위반과 그 구제에 과한 연구, 무역학회지, 한국무역학회, 2008. 11 외 박순찬 교수 연구실위치 인문사회과학관 309호 연구실 전화 041-850-8394 담당과목 경제통합론, 국제통상체제론 외 이메일 spark@kongju.ac.kr 상세보기 [학력] 1995. 독일 잘란트 대학교 경제학석사 2000. 독일 뮨헨대학교 경제학 박사 [경력] 2001.8 - 2004.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학술 활동] 1. 2012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Interdependent Regional Trade Agreements and Production Networks: An Empirical Analysis, 2012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조직우원회, 2012.2 2.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춘계학술대회, 무역자유화의 동태적 누적효과: 한국 제조업,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1.5 3. 2011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Mod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Patterns of Trade: Why do multinational Enterprises come to China?, 한국비교경제학회, 2011.2 4. 2011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Cultural Distance and International Trade, 한국EU학회, 2011.2 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de, Free Trade Agreements versus Customs Unions: An Examination of East Asia, The Institute of Northeast Asian , 2008.07 6. 2008 경제학공동학술대회, 시장개방이 고용에 미친 영향에 대한 동태적 분석: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국국제통상학회, 2008.02 7. 외환위기 이후 10년의 평가와 한국 무역의 과제, 외환위기 극복과 무역 및 무역정책의 역할, 한국국제통상학회/한국무역협회, 2007.10 8. 중장기 신무역동력확보를 위한 2007 산관학 무역정책 대토론회, 세계무역의 서비스화: 국제무역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무역학회, 2007.08 9. 동아시아 경제협력과 한 중 양국의 역할, The Trade-Depressing and Trade Diversion Effects of Antidumping Activities: The Case of China, 중국사회과학원, 2007.03 10. 한국질서경제학회 창립10주년 기념학술대회, 지식기반사회의 지역혁신전략 : ‘학습지역’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질서경제학회, 2006.10 11. 한독경상학회 국제학술대회, 세계화 및 지역통합 심화에 따른 동아시아 주요국의 산업구조변화, 한독경상학회, 2006.09 12. 한독경상학회 국제학술대회, Emergence of Chinese Economy in Northeast Asia: Its Impact and Future, 한독경상학회, 2005.10 13. 한독경상학회 춘계학술대회, DDA 협상의 관세감축방식과 자동차 산업, 한독경상학회, 2005.04 [논문] 1. “Trade-creating regime-wide rules of origin: q quantitative analysis”, Applied Economics Letters, Routledge, 2013.5 2. “A Free Trade Area of the Asia Pacific (FTAAP): Is It Desiable?”, Journal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2013.3 3. “China's Free Trade Agreements with ASEAN, Japan and Korea: A Comparative Analysis”, China & World Economy, Wiley, 2012.7 4. “Industry-specific effects of antidumping activities: evidence from the U.S., the European Union and China”, Applied Economics, Routledge, 2012.3 5. “A Gravity Model Analysis of Measuring Services Trade Barriers”, Journal of Korea Trade, Korea Trade Research Association, 2011.11 6. “Best Practices for Regional Trade Agreements”, Review of World Economics, Kiel Institute, 2011.6 7. “Regional Liberalization of Trade in Services” The World Economy, Wiley, 2011.5 8. “The trade depressing and trade diversion effects of antidumping actions: The case of China”, China Economic Review, Elsevier, 2009.08 9. “Free Trade Agreements versus Customs Unions:An Examination of East Asia“, Asian Economic Papers, MIT Press, 2009.06 10. “Reform Creating Regional Trade Agreement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Applications for East Asia”, Pacific Economic Review, 2008.12 11.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EU Enlargement on the 3rd country: The Case of Korea”, 유럽연구, 한국유럽학회, 2006.12 12. “An Examination of the Formation of Natural Trading Blocs in East Asia, Asian Economic Papers”, MIT Press, 2005.12 13. “무역원활화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중동유럽 국가에의 적용”, EU학연구, 한국EU학회, 2012.12 14. “화교 민족네트워크와 국제무역-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수출입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중국문제연구소, 2013.11 15. “동아시아 국가의 서비스 무역장벽과 서비스 개방의 경제적 효과 분석”, EU학연구, 한국EU학회, 2012.9 16. “무역자유화의 동태적 누적효과:한국 제조업”, 경제분석,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2011.12 17.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컬쳐노믹스 복지(Culturenomics Welfare)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2011.9 18. “지역무역협정(RTA)의 법적 규정과 무역창출효과 분석”, EU학연구, 한국EU학회, 2011.8 19. “동아시아 국가의 문화 차이와 무역”, 동북아경제연구,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1.6 20. “IT 산업의 해외직접투자와 국내 생산 및 고용”, 국제통상연구, 한국국제통상학회, 2010.6 21. “OECD 국가의 교육 효율성: 교육비와 성과의 변화 분석”, 경상논총, 한독경상학회, 2010.3 22. “서비스 오프쇼링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을 대상으로”,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23. “한국 서비스 산업의 외국인직접투자와 제조업 생산성”, 국제통상연구, 사단법인 한국국제통상학회, 2009.05 24. “한류의 무역창출효과”, 경제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09.03 25. “자유무역협정(FTA)과 반덤핑 발동에 대한 실증연구”, 경상논총, 한독경상학회, 2008.09 26. “문화상품 수출이 상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 한일경상논집, 한일경상학회, 2008.06 27. “정책효과 분석수단으로서의 일반균형연산(CGE)모형”, 평가리뷰,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7.12 28. “규제개혁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관한 일고찰: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질서경제저널, 한국질서경제학회, 2007.12 29. “한국 상장기업의 부채구조 연구”, 경상논총, 한독경상학회, 2007.12 30. “서비스 교역과 경제성장”,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연구원, 2007.06 31. “중국 반덤핑조치의 수입제한효과”, 경상논총, 한독경상학회, 2007.06 32. “중국에 대한 시장경제지위 인정이 반덤핑관세율 및 수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 반덤핑의 경우”,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33. “북한 대외교역이 경제성장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경상논총, 한독경상학회, 2006.06 34. “DDA 협상의 관세감축방식과 자동차 산업”, 경상논총, 한독경상학회, 2005.06 35. “한-아세안 FTA에서 서비스 무역자유화의 영향 분석”,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연구원, 2005.06 36. “한국의 산업집중과 지역특화에 대한 실증분석”, 경상논총, 한독경상학회, 2004.09 37. “FTAA출범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개방을 포함한 CGE분석”, 국제경제연구, 국제경제연구, 2004.08 38. “경제통합과 산업입지의 변화”, EU학 연구, 한국EU학회, 2002.12 39. “한ㆍ일 자유무역지대의 자본축적효과”, 국제경제연구, 국제경제학회, 2002.4 40. “한중일 무역자유화의 후생효과: CGE 모형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 종합연구센터, 2002.03 [저서] 1. 「동아시아 통합전략(II)」, 전홍택 외 10명, KDI, 2011.12 2. 「CIS의 경제통합 추진 현황과 정책 시사점: 관세동맹을 중심으로」, 이재영 외 3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3. 「APEC 경제통합과 원산지규정: 경제적 효과와 APEC의 협력 과제」, 김상겸 외 3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4. 「성장과 고용효과 제고를 위한 경제정책」, 금재호 외 6명, 한국노동연구원, 2011.12 5. 「글로벌시대의 보호무역에 대한 경제적 비용분석과 정책 시사점」, 최낙균 외 2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12 6. 「The Great REcession and Import Protection」, Chad Bown 외 15명, The World Bank, CEPR, 2011.8 7. 「동아시아 통합전략: 성장-안정-연대의 공동체 구축」, 전홍택 외 9명, 한국개발연구원, 2010.12 8. 「보고르 목표 이행평가와 APEC의 경제통합과제」, 김상겸 외 3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12 9. 「FTAAP의 경제적 효과 및 한국에의 파급영향」, 김상겸 외 2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10. 「DDA 타결의 경제적 효과 분석과 정책과제」, 서진교 외 4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12 11. 「산업클러스터와 지역경영전략」, Shoichi Yamashita 외 14명, 다하출판, 2009.03 12. 「시장개방과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진교, 이홍식, 김우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13. 「시장개방의 생산성 향상 메커니즘 분석」, 김우영 외 4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12 14. 「한-중 IT교역관계의 현황과 FTA 추진에의 시사점」, 남상열, 강하연, 외 3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8.12 15. 「규제개혁 효과분석을 위한 기본모형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이종한, 한국행정연구원,2007.12 16. 「한미FTA협상의 분야별 평가와 정책과제」, 최낙균 외 1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12 17. 「한-EU FTA: 현황과 전망 그리고 추진전략」, 이종원 외 5명, 높이깊이, 2007.06 18.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상전략 연구: 열린경제」, 강인수 외 11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19.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상전략 연구: 협력경제」, 강인수 외 11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20.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상전략 연구: 선진경제의 통상정책과」, 강인수 외 11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21. 「APEC 무역원활화의 정책과제 및 파급효과」, 김상겸 외 2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22.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상전략 연구」, 강인수 외 12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23.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상전략 연구: 통상거버넌스」, 강인수 외 11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12 24. 「WTO DDA 협상과 관세율체계 변화 연구」, 정재호, 한국조세연구원, 2006.12 25. 「한-미 FTA가 경기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이종화 외 3명, 경기개발연구원, 2006.12 26. 「거시경제정책의 고용효과」, 금재호, 김우영 외, 한국노동연구원, 2006.03 27. 「비교방법론적 분석을 통해서 본 동북아 경제통합」, 김흥종, 손병해, 김세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28. 「무역자유화가 고용 및 임금 양극화에 미친 영향: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김우영, 이창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29. 「Economic Effects of a Korea-China FTA and Policy Implications」, Hongshik Lee, Hyejoon Im, Inkoo Lee, KIEP, 2005.12 30. 「한-중-일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대응전략」, 이창재, 김남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31. 「한-EU FTA의 경제적 효과분석과 정책적 대응방안」, 김흥종, 이창수 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32. 「APEC 보고르 목표 실행전략: 시나리오별 효과 분석」, 김상겸, 박성훈, 박인원,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33. 「북한경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조명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12 34. 「한미 FTA의 무역 및 투자창출효과와 교역구조에 대한 연구」, 강문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12 35. 「Geographic Concentration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East Aisa」, Hongshik Lee and Mikung Yun, KIEP, 2004.12 36. 「FTA의 득과 실」, 김진오 외 7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06 37. 「DDA 중간점검-2003」, 최낙균 외 9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38. 「DDA 규범분야의 협상의제별 주요 쟁점과 시사점」, 강문성, 이창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39. 「Analysis of the Trade Negotiation Options in the East Asian Context」, N. Choi, Chang-Soo Lee, KIEP, 2003.12 40. 「미주자유무역지대(FTAA)의 협상동향과 경제적 효과분석」, 강문성 외 5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41. 「한중일 무역규범의 비교분석과 FTA에 대한 시사점」, 강문성 외 3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12 42. 「Specialization and Geographical Concentration in East Asia: Trend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KIEP, 2003.12 43. 「DDA협상의 시나리오별 경제적 효과」, 최낙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12 44. 「An Examination of the Formation of Natural Trading Blocs in East Asia」, Chang-Soo Lee, KIEP, 2002.12 45. 「How Far Has Regional Integration Deepened? Evidence From Trade in Services」, KIEP, 2002.12 46. 「Measuring Tariff Equivalents in Cross-Border Trade in Services」, KIEP, 2002.12 47. 「Interdependent Specialization and International Growth Effect of Geographical Agglomeration」, KIEP, 2002.05 48. 「WTO 뉴라운드의 협상의제별 주요 쟁점 및 대응방안」, 최낙균 외 9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2 49. 「EU 확대와 한국의 대응전략: CGE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화, 대외경제정책연구, 2001.12 50. 「북한의 경제회복을 위한 자본수요 추정과 적정투자방향의 모색」,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12 남수중 교수 연구실위치 인문사회과학관 401호 연구실 전화 041-850-8395 담당과목 국제통상학원론, 중국경제론 외 이메일 sjnam@kongju.ac.kr 상세보기 [학력] 2002년 7월 중국사회과학원 세계경제 및 정치연구소 경제학박사 1995년 8월 한국외국어대학교 아주지역학과(중국경제 전공) 석사 졸업 1993년 2월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졸업 [경력] 2002년 8월 - 2006년 3월 : 국제금융센터 연구분석실 선임연구위원 1999년 9월 - 2002년 6월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비상근 연구원 1995년 11월 - 1998년 12월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경제실 연구원 (1997년 1월 - 1998년 3월)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근무) [학회활동] 산업자원부, '중국경제 동향 점검회의' 자문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BRICs 전문가 칼럼' 위원 무역협회 무역연구소, '한중무역포럼' 전문위원 전국경제인연합회, 'China Forum 경제산업분과위원회' 위원 동북아경제학회 등 [논문 및 학술 발표] 『金融深化, 金融體制發展與經濟增長-中韓對比硏究』, 중국사회과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6. “中國金融深化與金融體制發展的影響”, 『중국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03, 6. “중국 금융시스템의 불안정 요인과 영향”, 『중소연구』, 제27권 제4호(통권 1제100호), 2003/2004 “중국의 외국인투자 환경 변화와 투자 리스크 평가 -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제5집 2호 “중국의 외국인투자 환경 변화와 투자 리스크 평가 -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회 정기 학술 발표(2003.11.) “중국 금융심화 및 금융자산구조 변화의 의미와 한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 풀 토의자료, 2003. 7. “중국의 경제발전 전략 변화와 ‘삼농’문제”, 2인 공저,『동북아경제』, 2004. 08. “韓中金融協力現況和今後課題”,『한국무역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아태연구소 공동세미나』, 2004. 12. “한-중 금융협력의 현황과 향후과제”, 『중국학연구』제31집, 2005. 3. 《?中金融合作的???今后??》,《??????》2005年9-10期,中?社?科?院世界???政治?究所。 "은행의 부실채권 처리와 국유기업 부실화 가능성", 전경련 차이나포럼, 『차이나 리스크 평가와 영향』, 2006.02. "중국 금융체제 개혁과 향후 전망", 중국연구 제37권, 2006. 6.(공저) 2. 보고서 “중국 환율정책상의 딜레마와 대처전망”, 『Memorandum』(2005/04/27), 국제금융센터 외 다수 3. 기타 재정경제부, 산업자원부, 국회예산처, 국가정보원, 산업연구원, 산업기술재단, 무역협회 등의 다수 연구과제 수행 이명수 교수 연구실위치 인문사회과학관 416호 연구실 전화 041-850-8391 담당과목 국제금융제도론, 중급거시경제학, 파생금융상품론 외 이메일 myungsoo.yie@kongju.ac.kr 상세보기 [학력] ○ 2007. 8.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경제학 박사 ○ 2000. 2. 한양대학교, 경제학 석사 ○ 1997. 2. 한양대학교, 경제학 학사 [경력] ○ 2020.9 ∼ 현재 : 공주대학교 경제통상항부 국제통상학 전공, 부교수 ○ 2016.9 ∼ 2020.8 : 공주대학교 경제통상항부 국제통상학 전공, 조교수 ○ 2007.8 ∼ 2016.8 :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부연구위원 ○ 2000.1 ∼ 2001.7 : 서울연구원, 위촉연구원 [학회활동] 논문발표 및 토론 ○ 2019년 한중사회과학학회·동북아경제학회·중국 연태대학 공동학술대회 (논문발표) “Non-linear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 Emerging Market Countries.” ○ 2019 SIBR Conference on Interdisciplinary Business & Economic Research in Tokyo (논문발표) “The Impact of ICT Sector on Output and Economic Growth.” ○ 2018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논문발표) “경제성장과 4차 산업 발전의 영향.” ○ 2014 BOK International Currency Conference (논문발표) “Currency Hoardings aftrer the Introduction of New Banknotes: Case of Korea.” ○ 2012 5th Annual Workshop of the Asian Research Networks, co-hosted by the BIS and the Bank Negara Malaysia (논문발표) ○ 2012 한국국제경제학회 (세미나 지정토론) ○ 2011 고려대 BK 세미나 (논문발표) “ The Role of Foreign Debt and Financial Frictions in a in a Small Open Economy DSGE Model.” ○ 2011 Asian Meeting of Econometric Society Conference (논문발표) “House Price Dynamics and Household Debt: The Korean Case.” ○ 2011 BOK International Conference (논문발표) “Financial Integration and Capital Account Re-regulation: An Emerging Market Perspective.” ○ 2009 WEAI Conference in Kyoto (논문발표 및 지정토론) “Cost Channel Effect of Monetary Policy in Korea.” ○ 2009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지정토론) ○ 2008 한국금융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발표) “Cost Channel Effect of Monetary Policy in Korea.” ○ 2008 한국경제연구학회 정책세미나 및 정기학술대회 (지정토론) [논문심의] ○ Economic Modelling / 경제분석 / 금융연구 / 계량경제학보 / 한국경제연구 / 경제학연구 / 보험금융연구 / 동북아경제연구 / 무역통상학회지 / 지역개발연구 [저널 수록 논문] ○ Price-Setting Behavior of Korean Firms, Asian Economic Journal, Vol. 34, No. 1, 97-120, 2020. (송승주, 박창귀 공저) ○ 통화정책이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비선형적 영향 분석, 『한국경제연구』, 제 38권 제 1호, 99-130, 2020. (송승주 공저) ○ 자본유출입에 대한 통화정책 효과의 비선형성 분석 : 신흥국을 중심으로, 『국제경제연구』, 제 25권 제 4호, 27-54, 2019. ○ ICT 산업이 생산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26권2호, 24-45, 2019.(남수중과 공저) ○ House Price Dynamics with Household Debt: The Korean Case, Asian Economic Journal, Vol. 31, No. 1, 39-59, 2017. (with Hyun Jeong Kim and Jong Chil Son) ○ Trend Inflation, Firms’ Backward-looking Behavior, and Inflation Persistence, Economic Modelling, Vol. 58, 116-125, 2016. (with Insu Kim) ○ 장·단기 금리차의 생산갭 예측력 분석 : 한·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경제연구』, 제 28권, 제 1호, 69-104, 2016. ○ 권화종별 화폐수요 추정 및 정책적 시사점, 『재정정책논집』, 제 18권, 제 1호, 115-148, 2016. ○ The Role of Foreign Debt and Financial Frictions in a Small Open Economy DSGE Model, Singapore Economic Review, Vol. 61, No. 5, 1-23, 2016. (with Byoung Hark Yoo) ○ 실업률을 고려한 최적 통화정책 분석, 『금융연구』, 제 29권, 제 3호, 33-73, 2015. (김인수와 공저) ○ 중첩세대 모형을 통한 가계부채 변화 경로 분석, 『경제분석』, 제 17권 제 4호, 1-29, 2011. (김현정, 손종칠과 공저) ○ 기업의 자금조달 수단과 대출경로, 『금융연구』, 제 23권, 제 3호, 51-82, 2009. (김준한과 공저) ○ The Cost Channel Effect of Monetary Policy in Korea, 『경제분석』, 제 14권, 제 3호, 157-194, 2008. ○ 한국 외환위기의 자기실현성에 관한 실증연구, 『금융학회지』, 제 6권, 제 1호, 103-124, 2001. (박대근과 공저) [발간 연구서] ○ 『중장기 서울경제모형 구축연구(II) - 서울시 연산일반균형모형 개발』, 시정연 2000-R-17, 서울연구원, 2000. (연구책임: 이세구, 연구원: 이명수, 김동혁) Working Paper / Work in Progress ○ 통화정책의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 행태방정식 분석 (송승주 공저, BOK 경제연구 제2018-46호) ○ 금리하한 제약하에서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최적 추세인플레이션 산정 (박성호 공저)